명절을 앞두고 보너스, 상여금, 떡값, 상품권 등을 지급받는 직장인 분들이 계실텐데요. 이때 생기는 궁금증, 명절에 받은 상여금도 세금을 내야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명절 상여금도 당연히 세금을 뗍니다.
상여금이란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통상임금 외에 시기나 조건에 따라 지급하는 금품을 말해요.
명절 상여금 외에도 직책수당, 연월차 수당, 출산 및 보육수당, 성과상여금, 시간외근무수당, 휴가 지원비 등이 포함되는데요. 이런 상여금은 추가적인 급여소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당연히 모두 세금 부과 대상입니다.
세금은 얼마나 떼나요?
일반적으로 회사에서는 상여금을 지급할 때 명절이 포함된 달, 또는 다음 달 급여명세서에 상여금을 추가해 지급해요. 이때 명절 상여금이 포함된 급여액에서 세금을 원천징수해 급여를 지급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세금이 더 나왔다고 느낄 수 있어요.
상여금에 대한 원천징수 세액은 지급 대상 기간이 정해진 경우와 지급 대상 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로 나뉘어 집니다.
1. 지급 대상 기간이 정해진 경우
원천징수 세액 = (① x ②) - ③
① [매월 평균 총 급여액('상여 등'의 금액 + 지급 대상 기간의 '상여 등' 외의 급여의 합계액)÷지급 대상 기간의 월수]에 대한 간이세액표 상의 해당 세액
② 지급 대상 기간의 월 수
③ 지급 대상 기간의 '상여 등' 외의 급여에 대해 이미 원천징수한 세액
2. 지급 대상 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
이 경우에는 해당 상여를 받은 연도의 1월 1일부터 상여 지급일이 속하는 달까지를 지급 대상 기간으로 보아 원천징수 세액을 계산해요.
명절 선물도 세금 떼나요?
명절 선물세트나 상품권 역시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에 포함되어 이에 따른 근로소득세를 과세하게 됩니다.
1. 선물세트
- 근로소득에 대한 수입금액을 지급 당시 시가에 의해 계산
2. 상품권 지급
- 상품권 금액만큼을 직원 상여로 처분
- 지급 당시에는 원천징수하지 않더라도 연말정산 시에는 급여 총액에 포함해 개인 소득세 계산에 반영
명절 보너스와 관련된 궁금즘은 해소 되었나요? 올해도 소중한 사람들과 행복하고 풍성한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 삼쩜삼 콘텐츠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이 링크]에서 고객님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