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라고 다들 알고 계실 거예요. 대략 8~9% 정기적금에 가입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 청년의 자산 형성에 도움을 주는 계좌인데요. 내년에 제도가 개선돼 추가적인 혜택도 있다고 해요. 청년도약계좌에 대하여 함께 알아볼까요?

나이 요건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일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병역이행기간이 증명된다면, 현재 연령에서 병역 이행 기간(최대 6년)을 빼고 계산한 연령이 만 34세 이하인 사람을 포함해요.

소득 요건

  •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천5백만원 이하인 경우
    (직전 과세기간에 근로소득만 있거나 근로소득과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지 않는 종합소득이 있는 경우로 한정. 단, 육아휴직급여 및 군장병급여 외에 비과세소득만 있는 경우 제외)

  •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금액 6천3백만 원 이하인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천5백만 원을 초과하는 근로소득이 있는 자 및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해당 조건 중 소득 요건 하나라도 만족하면 돼요.

가구 요건

청년도약계좌 조건 중 가구 요건은 중위소득 기준을 만족해야 하는데요.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면 돼요.

알트태그 내용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순위를 매겼을 때, 가운데를 차지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하며, 기준 중위소득 100%라 함은 딱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 소득을 뜻해요.

금융소득 종합과세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아야 해요. 여기서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이라 함은 개인별 금융소득 합계액이 연간 2천만 원을 초과하는 사람을 의미해요.

소득이 낮으면 더 두텁게 지원받아요

알트태그 내용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개인소득 총 급여 또는 종합소득 기준에 따라 정부 기여금 매칭 비율이 달라져요.

2025년 달라지는 청년도약계좌 내용

1. 추가 기여금 지급

현재는 매칭 한도를 초과해 납입하면 초과분에 대해서는 기여금이 지급되지 않아, 딱 기여금 지급 한도까지만 돈을 입금하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 만기 시 수령 금액은 연 9.54% 적금상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어요.

2. 납입액의 최대 40% 부분 인출 가능

급하게 돈 쓸 일이 생겨 눈물을 머금고 청년도약계좌를 해지한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이 부분도 앞으로는 개선된다고 해요. 2년 이상 가입자를 대상으로, 누적 납입액의 최대 40% 이내에서는 부분 인출이 가능해요. 단, 3년 미만 부분인출 금액에 대해서는 정부 기여금이 붙지 않으니, 중도 인출하더라도 무조건 3년 이상은 버텨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