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이나 적금은 목돈을 마련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에요. 하지만 만기 시 이자 소득에 세금이 붙기 때문에 세금을 뗀 만기 금액을 받으셨을텐데요, 오늘은 이자소득에 세금이 붙는 이유와, 절세 가능한 방법, 그리고 대표적인 비과세 상품에 대해 알아볼게요.
예·적금 이자도 ‘소득’이에요
예금이나 적금에서 발생한 이자는 ‘이자소득’이라는 이름으로 과세 대상이 돼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처럼, 이자도 금융소득으로 분류되는 소득의 한 종류인 것이죠.
이자소득은 대부분 은행이 원천징수 방식으로 세금을 미리 떼고 지급하는데요, 이자(배당 포함) 소득이 연 2,000만 원을 넘을 경우,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종합소득세 신고도 해야합니다.
세금은 얼마나 내나요?
2,000만 원 이하의 예·적금 이자에는 15.4%의 세율이 자동으로 적용돼요.
- 이자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 합계: 15.4%
예를 들어, 1년 동안 40만 원의 이자를 받는다면 약 6만 1,600원이 세금으로 빠지고, 실제로 받는 금액은 약 33만 8,400원이 되는 거예요. 은행, 증권사 등 금융기관 종류와 상품 유형에 따라 예외는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정기예금이나 적금은 위의 세율이 기본적으로 적용돼요.
3. 세금 안 내는 방법은 없을까요?
완전히 세금을 안 내는 건 어려워요. 이자도 소득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과세가 불가피하거든요. 하지만 정부에서 마련한 비과세나 세금우대 상품을 이용하면, 일정 한도까지 이자소득세를 내지 않거나 줄일 수 있어요. 대표적인 상품들을 소개해 드릴게요.
*미리 참고해 주세요! 아래 상품에 대한 세부 사항은 증권사마다 다를 수 있으며, 증권사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증권사에 직접 문의/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청년형 ISA
청년형 ISA는 일반형보다 비과세 한도가 2배나 높아서, 장기 자산 형성에 유리해요.
- 대상: 만 19세~34세,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 비과세 한도: 연 1,000만 원
- 연간 납입한도: 4,000만 원 (총 2억 원까지 납입 가능)
- 특징: 예금뿐 아니라 펀드, ETF, 주식 등에 자유롭게 투자 가능
(2) 서민형 ISA
소득이 적은 분들이 장기 자산을 안정적으로 키울 수 있게 도와주는 상품이에요.
- 대상: 총급여 5,0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3,500만 원 이하인 근로자 및 사업자
- 비과세 한도: 연 400만 원 (3년 이상 유지 시)
- 가입 가능자: 청년, 무직자, 대학생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가능
(3)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이 통장은 단순한 청약 목적을 넘어, 절세와 대출 우대까지 함께 챙길 수 있는 종합상품이에요. 단, 중도해지 시 혜택이 일부 사라질 수 있으니 신중히 가입해야 해요.
- 대상: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세대주 여부와 무관하게 본인만 무주택이면 가입 가능)
- 소득 조건: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
- 혜택: 우대금리, 비과세, 소득공제, 주택청약 및 대출 연계
- 소득공제 요건: 무주택 세대주 +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
- 비과세 한도 : 이자소득 기준 500만 원(연간 불입액 600만 원 한도)
예·적금 이자는 안정적인 자산 형성 수단이지만, 세금이 예상 수익을 줄이는 변수가 될 수 있어요. 따라서 비과세 상품을 잘 활용하면 실수령액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장기적인 재테크 전략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 삼쩜삼 콘텐츠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이 링크]에서 고객님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