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청년 지원금 정보를 가져왔어요. 나라 전체에서 시행하는 건 아니고 대표적으로 서울시에서 '청년수당'이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진행 중이고요, 일부 다른 지자체에서도 다른 이름의 비슷한 제도들이 시행 중이에요. 지역별로 어떻게 운영되는지 삼쩜삼이 알려드릴게요.

서울 - 청년수당

서울에서는 아직 취업을 하지 못했거나 단기 근로만 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활동 지원금 명목으로 청년수당을 지급해요. 여기에 취업을 위한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답니다.

①지원 대상

  • 만 19세~34세 청년
  • 미취업자 or 단기 근로 청년(주 30시간 또는 3개월 이하 근로계약)
  • 군 복무 기간 최대 3년 인정

②지원 금액

  • 매월 50만 원
  • 최대 6개월 지급(최대 300만 원)

③지원금 사용 방법

  • 체크카드 사용이 원칙(현금 사용 불가)
  • 사업목적 외 사용 불가
  • 특정한 경우에는 계좌이체 허용
    -주거비(월세, 관리비, 대출 등)
    -생활비, 공과금(통신비, 관리비, 건강보험료 등)
    -교육비(학자금 대출, 자격증 시험 응시료 등)

③신청 방법
서울 청년 몽땅 정보통(클릭)에 접속한 후 청년수당 신청을 하면 되는데요. 청년수당 신청은 오프라인 접수는 안 되고 온라인으로만 할 수 있어요.

💡
청년수당 사용할 때 주의할 점 있어요!
- 청년수당으로 지급되는 돈은 예금이나 적금처럼 자산 축적용으로 사용할 수 없어요.
- 사업목적 외 제한업종(호텔, 카지노, 상품권 구매, 백화점, 유흥업소 등)에서는 아예 결제가 되지 않아요.
- 다른 통장으로 이체해 사용하면 안 돼요.
-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도 쓸 수 있지만 해외에서는 쓸 수 없어요.

경기도 - 청년기본소득

서울 청년수당이 있다면 경기도 청년수당인 청년기본소득이 있어요. 1인당 분기별로 25만 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해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자는 취지죠. 단, 경기도 중에서 성남시, 고양시는 기본소득 사업을 중단해 주민등록상 이 지역에 거주한다면 청년기본소득을 받을 수 없다는 점 알아두시기 바라요.

①지원 대상

  • 신청일 기준 24세 청년
  • 3년 이상 경기도에 계속 거주 or 합산 10년 이상 거주

②지원 내용

  • 1인당 분기별 25만 원 지급(최대 100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는 일시금으로 지급
  • 지역화폐로 제공(유효기간 3년) 되며, 기한 내 미사용 금액은 소멸
  • 시흥, 군포, 과천은 예외로 5년 인정

③신청 및 지급 기간
신청 기간은 생년월일에 따라 분기별로 달라지는데요, 다가오는 가장 빠른 신청기간은 4분기인 10월 15일 이에요.

  • 4분기 신청 기간 : 25.10.15~11.24
  • 신청가능 생년월일 : 2000.10.02~2001.10.1 사이 출생자
  • 지급일 : 25.12.20

④신청 방법
분기별로 잡아바 어플라이(클릭) 온라인 신청

전북 - 청년활력수당

전북에서는 청년활력수당이라는 이름으로 청년수당을 지급하고 있어요. 도내에 거주하면서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한 청년들이 대상인데요. 청년활력수당은 생애 딱 1번만 받을 수 있어요.

①지원 대상

  • 만 18세~39세 청년
  • 전북 거주자
  • 미취업자 중 최종학력 졸업(중퇴 포함)자
  •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재학생 신청 불가

②지원 내용

  • 수당: 매월 50만 원씩 6개월(생애 1회)
  • 교육: 구직역량강화 필수교육 2회 의무 참여
  • 취업, 창업성공금: 사업 참여 중 취업이나 창업해 3개월 동안 근속할 경우 50만 원 지원(1회)
⚠️
2025년 청년활력수당 신청은 2월 신청과 4월 추가 신청으로 마감됐어요. 내년 신청은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사이트(클릭) 공고를 눈여겨봐 주세요.

부산 - 청년디딤돌카드

부산광역시에서는 청년디딤돌카드를 지원해요. 1,000명의 지원자에게 6개월 동안 월 30만 원씩 총 180만 원을 지급합니다.

①지원 대상

  • 만 18세~39세
  • 공고일 기준 부산 거주자
  • 최종학력 졸업자(재학중X)
  • 미취업자, 미창업자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24년도 3인 기준 월 소득 7,072,000원 이하)

단,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2017~2024년 디딤돌 카드 사업(청년 구직활동비 지원 사업)에 참여해 지원금을 받았던 분들은 신청하실 수 없어요.

②지원 내용

  • 월 30만 원씩 6개월간(최대 180만 원)
  • 취업성공금 30만 원(1회) - 첫 지급일로부터 5개원 이내 취업 또는 창업 시
  •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참여

③신청 방법
부산청년디딤돌 카드 홈페이지(클릭) 온라인 접수

④신청 서류

  • 청년디딤돌카드신청서
  • 구직활동 계획서
  •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
  • 최종학교 졸업 증명서(제적, 중퇴 포함)

광주 - 청년드림수당

광주청년드림수당은 광주광역시에서 지역 미취업 청년에게 구직활동비와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정책이에요.

①지원 자격

  • 광주광역시 거주 만 19세~39세 미취업 청년(1985. 2. 6. ~ 2006. 2. 5. 출생자)
  •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원
  • 최종학력 졸업(중퇴·제적·수료)자, 학력 무관
  • 재학생(휴학생 포함), 졸업예정자, 주 30시간 이상 근로자, 국민·지자체 유사사업 참여자 등은 제외

②지원 내용

  • 월 50만원씩 6개월간 최대 300만원까지 구직활동비 지급
  • 클린카드(체크카드) 형태로 지급
  • 구직역량 강화 프로그램(기업탐방, 진로상담, 실무특강, 멘토링 등) 및 원데이클래스 제공

③신청 방법

오늘 소개드린 청년 수당 외에도 내가 낸 세금도 환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특히 20대 초반이라면 아르바이트나 계약직 등 일하며 낸 세금을 돌려받지 못했을 수 있어요. 내가 놓친 세금환급금이 궁금하다면 아래 배너를 클릭하여 세금환급금 무료로 조회해 보세요.

청년 수당과 세금 환급금, 삼쩜삼 고객님은 숨은 돈 모두 놓치는 일 없이 잘 받으시길 바라요!


* 삼쩜삼 콘텐츠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이 링크]에서 고객님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