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필

김경필

경제 칼럼니스트
숫자 100000000을 실로 연결해둔 모양의 일러스트
재테크

적은 월급으로 1억을 모은 사람들의 공통점 5가지

필자는 1억 원 모으기에 성공한 사람들을 많이 만났다. 소득이 매우 높은 사람이 1억 원을 모았다면 1억 원을 모았다기보다는 ‘월급을 아껴 쓰고 1억 원을 잘 남겼다’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소득이 낮다면 이야기가 다르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의 이야기가 더 인상 깊다. 300~400만 원대의 평범한 월 소득, 혹은 300만
6 min read
쌓인 돈을 바라보는 사람 일러스트
재테크

부유층, 중산층, 서민층을 나누는 새로운 기준

몇 해 전 부자의 기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미국인은 220만 달러, 원화로 순자산 29억 2,600만 원 이상 있어야 부자라고 답했고 한국인은 이보다 더 엄격해서 순자산이 46억 5천만 원은 돼야 부자라고 답했다. 또 다른 설문조사에서 한국인은 월 소득 700만 원 이상을 벌어야 중산층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이처럼 경제 계층을 자산과
6 min read
진찰을 하고있는 의사 일러스트
재테크

100세 시대, 이제는 경제 건강검진도 필요합니다.

100세 시대에 길어진 수명만큼 정기적으로 받는 건강검진은 우리 몸에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때문에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 파수꾼의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개인의 경제에도 이런 건강검진 같은 것이 없을까? 현대사회에서는 몸과 마음의 건강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지갑의 건강이다. 경제의 건강도 몸의 건강처럼 한순간 나빠지는 것이 아니라 안 좋은 습관이 쌓이고 쌓여
6 min read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그래프를 바라보는 노인 그림
재테크

인플레이션 시대를 대비하는 진짜 노후준비는 무엇일까

최근 소비자 물가지수는 많이 하락했지만 사람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사실 자본주의가 성숙할수록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고물가는 필연적인 결과물이다. 이런 인플레이션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는 노후준비란 어떤 것일지 생각해 보자. 1. 완전한 은퇴를 하려면 최소한 얼마의 자산이 있어야 할까? 2024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1인 가구 최저생계비는 월 1,337,067원, 2인 가구는
5 min 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