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연말정산 했어도 환급액이 있는 이유

연말정산으로 세금은 한 번 정리된 줄 알았는데, 또 환급이 발생한다면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직장인이고, 연말정산을 했더라도 상황에 따라서 추가 환급금이 생길 수 있답니다. 오늘은 직장인도 환급금 생기는 이유에 대해 알아볼게요. 나에게 해당되는 내용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꼭 환급받으시길 바라요.

1. 연말정산 시 누락된 내용이 있는 경우

연말정산 당시 지출이나 공제를 누락했을 경우 환급액이 발생할 수 있어요. 누락된 지출과 공제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다시 반영할 수 있으니, 놓친 항목이 없는지 꼭 확인해 보세요.

① 공제 누락

누락하기 쉬운 대표 공제 항목으로는 의료비 공제, 교육비 공제, 기부금 공제, 월세 세액공제, 부양가족 공제 등이 있어요.

특히 부양가족 공제의 경우 공제 대상을 누락하거나, 잘못 입력하는 실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요. 부양가족 한 명당 최대 150만 원까지 공제가 가능한 만큼, 놓쳐서는 안 될 혜택이에요. 부양가족을 잘 입력했는지 확인하고, 만약 누락되었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꼭 진행하는 것이 좋답니다.

② 지출 누락

카드나 현금영수증 사용분을 누락했을 경우 신용카드 등 사용액 공제를 최대로 받지 못할 수 있어요. 특히 실손보험료, 외국 교육비, 아동 학원비 등은 회사가 알 수 없는 항목이라 연말정산 때 반영이 안 됐을 수도 있어요. 이 경우에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공제받을 수 있답니다.

2. 이직이나 퇴사를 했을 경우

최근 이직이나 퇴사를 했다면 두 회사에서 중복으로 공제를 받거나, 퇴사 후 연말정산을 못 했을 수도 있어요. 이 경우에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다시 정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요. 특히 퇴사 후 연말정산을 하지 않았다면 환급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요. 꼭 환급액을 조회하고 신고까지 진행하는 것을 권해드려요.

3. 근로소득 외의 수입이 있을 경우

강연료, 유튜브 수익, 원고료 등 기타소득이 있다면 소득을 받을 때 3.3%의 세금을 원천징수 해요. 실제 내가 내야 할 세금보다 원천징수한 세액이 더 많을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과하게 낸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어요.

4. 경품 혹은 당첨금을 받은 경우

이벤트나 대회에서 경품을 받았을 경우, 22%의 제세공과금을 원천징수 해요. 이 경우에도 내야 할 세금보다 원천징수한 세액이 더 많다면 환급을 받을 수 있답니다.

결론, 직장인도 5월 환급 꼭 확인하세요

연말정산을 했더라도 환급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다양해요. 특히 직장인의 경우, 평균 환급 신청액이 339,239원으로 상당히 높은 편인데요. 모르고 신고 기한을 넘길 경우 다양한 불이익이 따라올 수 있어요.

🚨
5월에 세금 신고 안 하면
- 19년도 환급액이 소멸될 수 있어요
- 5월 추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어요
- 국가 지원 정책 수혜가 어려워져요
- 납부 대상자는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어요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은 6월 2일까지예요. 직장인 분들도 반드시 기한 내에 환급액 조회 및 신고를 완료하시길 바랍니다.


* 삼쩜삼 콘텐츠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이 링크]에서 고객님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본 페이지에 사용된 평균 환급액 및 대상자 비율은 아래 기준으로 산출되었습니다.
- 직장인 평균 환급액 : 근로소득자 신고 고객 1,767,002명의 평균 신청액 (24.01.01~24.12.31 기준)

* 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