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세대가 노후준비할 때 착각하면 안 되는 것 세 가지
행정안전부가 지난해 12월 23일 기준으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가 1,024만 4550명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체 인구 19.8%에 해당되는 수준으로, 이 속도라면 올해 상반기에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중이 20% 이상을 돌파하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은 이러한 초고령사회 대한민국에서 앞으로 4050세대가 노후준비를 하면서 절대로 잘못 생각하면 안 되는 착각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노후준비의 성공은 재테크의 수익률이 결정한다는 착각
재테크는 흔히 수익률 게임이라고 불린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노후준비’라고 하면 어디에 투자해서 어떻게 수익률을 올릴 것인가에 과몰입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재테크의 한쪽 면만 보는 것이다. 사실 재테크는 수익률 단 한 가지로 결정 나는 것이 아닌 총 3가지 함수의 결과 값이라고 봐야 한다. 첫째는 소득, 둘째는 시간, 그리고 수익률이 나머지 그 하나다.
첫째. 소득이란 자신이 하는 일의 소득이 높아지는 것으로 직장인이라면 유능해지고 승진이나 이직의 기회를 잡는 것일 수 있고, 사업가라면 사업이 성장하는 일이다.
둘째. 시간이란 영속성(Perpetuity)을 높이는 것이다. 아무리 높은 소득이라도 오래 지속하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건강과 열정이 필수다. 만일 가장 중요한 소득과 시간을 늘리는 일에는 애쓰지 않으면서 오로지 수익률 올리는 정보를 찾는 것에만 몰입한다면 근본적인 노후준비는 어려울 것이다.
일론 머스크, 제프 베이조스 그리고 마크 저커버그 같은 세계적인 부자들 모두 수익률로 부자 된 사람이 아니라 결국은 자신의 일이 성장해 부자가 된 사람이라는 점을 명심하자.
2. 사회적 정년과 경제적 정년이 일치할 수 있다는 착각
아껴 쓰면 퇴직 후에도 어느 정도 버틸 수 있지 않을까? 은퇴를 10년 이내로 앞둔 4050세대 중에서 60세라는 사회적 정년이 실제 경제적 정년이 될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동안 수많은 선배가 60세 또는 그 이전에 퇴직하고 그런대로 살아가는 모습을 보아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지금 4050세대는 선배 세대와 달리 기대여명이 엄청나게 높아졌다. 2025년 40세 남성의 기대여명은 41.6년이며 여성은 무려 47.2년이나 되는데 이 수치는 평균값이므로 이 평균보다 조금만 더 오래 산다면 수명은 90세를 훌쩍 넘어선다.
따라서 직장에서 퇴직한 후 50대 중반부터 70세까지 제2의 인생설계, 즉, 세컨잡에 대한 준비가 절실하다. 하지만 내일모레 퇴직인 선배들은 이런 준비가 전혀 안 되어 있다. 아직 시간이 남아 있는 4050세대는 오히려 행운이라고 볼 수 있다.
3. 창업으로 생계형 경제활동을 연장할 수 있다는 착각
요즘 정년 이전에 직장을 나와서 창업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다. 직장에서 퇴직 후 하루아침에 소득이 끊기는 소득 절벽을 경험하기보다 한살이라도 젊었을 때 나의 일을 하겠다는 조급한 마음의 결과다.
일례로 비교적 진입장벽이 남은 프랜차이즈 창업의 경우, 가장 안정적이라는 커피, 치킨, 피자, 베이커리를 중심으로 실제 점주가 8~10시간을 일하는 조건으로 적게는 2~300만 원대, 많게는 4~500만 원대의 수익을 가져간다고 알려져 있다.
금액만 보면 이 정도면 괜찮은 거 아냐? 생각할 수 있지만, 정년까지 회사를 다닐 수 있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포기하고 나오는 임금이라는 기회비용과 8시간 이상 휴일 없이 근로를 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투자금 회수 비용까지 감안하면 이 정도의 소득은 사실은 마이너스와 다름없다. 즉 오랜 시간 철저한 준비 없이 급하게 게 자영업에 뛰어드는 일은 절대 금물이라는 것이다.
특히 이런 창업은 투자금이 들어가므로 단시간 내에 높은 소득을 추구해야만 한다. 물론 자신이 원하는 일이 아닌 생계형 경제활동이라도 소득만 높다면 오래도록 견딜 수 있다. 하지만 투자까지 해서 높은 소득을 추구하다 보면 자칫 결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을 경우 인생 후반전은 그야말로 악몽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그보다는 투자금 없이 소득이 적더라도 자신이 좋아하고 즐거워하는 일을 찾아 좀 더 오래 할 수 있도록 세컨 잡을 설계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 삼쩜삼 콘텐츠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이 링크]에서 고객님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본 게시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